0x0102
가명정보 활용 전문인재 교육 - 5 가명처리 이해 본문
1. 가명처리 이해
가명처리 vs 가명정보 처리
가명처리: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대체하는 과정
가명정보 처리: 가명처리를 통해 생성된 가명정보를 이용 제공 활용하는 행위
가명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안전조치의무와 처리 시 금지의무 준수
취급자와 다른 정보 이용기준으로 재식별 가능성 검토
가명정보 처리 필요성: 서로 다른 이종간 데이터를 가명처리한 가명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insight를 도출하거나 서비스 개발등에 이용 및 활용
전통적인 비식별 기술의 한계: 데이터 유용성과 개인정보 보호 수준이 trade off 요소 존재
2. 가명처리 기술에 대한 이해
개인정보 속성 분류 목적: 가명정보를 처리하는 환경과 데이터의 위험을 분석하여 적절한 가명처리 수준 결정
개인정보란?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 가명처리된 가명정보
개인정보를 포함한 일반적 자료 형태: raw data, micro data, macro data
자료 형태별 데이터 분석 특징: 이산형 범주형(명목형 / 순위변수) / 연속형(구간변수 / 비율변수)
특이정보 관찰 방법: 데이터에서 구별,연결,추론 대상을 확인하고 가명정보 취급자 기준을 검토함. k-익명성은 데이터세트에서 구별되는 레코드와 연결 위험을 관찰
'Study > Priva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명정보 활용 전문인재 교육 - 7 가명정보 결합 이해 (0) | 2024.05.20 |
---|---|
가명정보 활용 전문인재 교육 - 6 분야별 가명처리 이해 (0) | 2024.05.20 |
가명정보 활용 전문인재 교육 - 4 가명정보 활용에 대한 이해 (0) | 2024.05.06 |
가명정보 활용 전문인재 교육 - 3 가명정보 관련 제도에 대한 이해 (0) | 2024.05.06 |
가명정보 활용 전문인재 교육 - 2 가명정보 관련 법, 제도의 이해 (0) | 202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