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x0102
MUICache 본문
- Windows에서 다중 언어를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캐시
- MUI (Multilingual User Interface)
- 실행 파일 별로, 유저 언어(한국어) 이름을 별도로 저장하고 있음
-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캐시에 기록이 남음
- 실행 파일 경로, 이름
- 실행 파일이 삭제되거나, 경로가 변경된 경우에도 기록이 지워지지 않음
- MUICache 경로
- HKCU\Software\Classes\Local Settings\MuiCache
- HKCU\Software\Classes\Local Settings\Software\Microsoft\Windows\Shell\MuiCache
- MUICache View 이용하여 분석
먼저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가서 첫번째 경로부터 살펴보자.

해당 경로 아래로 내려가주면 이렇게 경로와 데이터가 나와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윈도우에서 지원해주는 것들이므로 한국어 지원이 잘 되어 있다.
두번째 경로도 가보자.

마찬가지로 우리가 다운로드한 서드파티 응용프로그램들이 보인다.
첫번째 경로보다 한국어 지원이 안되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도구를 사용하여 확인해보자.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해준다.
온 김에 옵션도 미리 알아가자.

도구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실행한다. 자동으로 정보들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들과 리스트가 나온다.
아쉬운 점은 언제 실행했는지가 나오지 않아 타임라인 구성이 어렵다는 점인데,
이는 앞서 사용했던 프리패치나 이후 다뤄볼 심캐시를 보면 타임라인 정보가 나오므로
교차검증 할때 파악하면 된다.
'Study > Digital Foren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26 디지털포렌식 스터디 (0) | 2022.07.27 |
---|---|
AmCache & ShimCache 개념 및 실습 (0) | 2022.07.27 |
Prefetch 개념 및 실습 (0) | 2022.07.25 |
Jumplist (0) | 2022.07.25 |
바로가기 (LNK) (0) | 2022.07.24 |